지식경영

[스크랩] 편백나누 열매 벼개 만들기와 효과

아 통일~~ 2014. 10. 23. 10:49


      편백나무 열매 베개 만들기

      처음에는 측백나무와 잎이 너무 비슷해서 측백나무 열매인줄
      알았는데 편백나무(측백나무과) 열매입니다



      각종질병 예방과 살균작용, 불면증이나 아토피 최근에는 항암
      효과까지 편백나무나 측백나무나 그 효과는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백나무 숲





      편백나무 열매







      편백나무는  겉씨식물인 측백나무과(側柏―科 Cupressaceae)에 속하는 상록비늘잎 교목으로 노송나무, 회목(檜木)이라고도 합니다.

      나무는 어느 종이나 모두 각각 자신을 방어하는 향이 나는 물질을 내뿜는다. 특히 나무를 베거나 잔디를 깍고나면 독특한 냄새가 더욱 강해지는데, 이때 발생되는 물질을 피톤치드(Phytoncide)라고 한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병원균, 해충,곰팡이 등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방향성 항균물질로 모든 식물들이 각각의 생육과정에서 발산하는 천연 항균물질을 뜻한다.
      피톤치드의 특징은 인간에게는 매우 유익하지만, 해충이나 인간에게 해로운 것들에게는 선택적으로 공격한다. 또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같은 이유로 숲에서의 삼림욕은 사람에게 피로를 풀어주고, 면역력을 증강시켜 주는 훌륭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편백나무 삼림욕과 편백열매 베개는 암 환자에게 좋다고 한다.
      전남 장성은 좋은 편백숲으로 방송보도후 암환자 분들이 요양을 많이하는 장소입니다. 그리고 전남 장흥에 있는 억불산도 조용하고 좋은 곳이라 합니다.
      항암효과는 피톤치드정유를 흡입하는데서 오는 효과임이 생노병사의 비밀 292회(녹색병원 숲)에서 밝혀졌습니다.

      편백나무는 사람에게도 살균작용과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예방하고 각종 세균 등을 살균하는 물질인 피톤치드 성분이 다른 나무보다 5∼6배가량이 많다고 한다.



      피톤치드는 인공합성이나 제조가 불가능한 완전 천연물질로서 침엽수림에서 다량 발생된다. 특히 그 중 일본에서 '히노끼'라고 불리는 편백나무가 침엽수림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백나무 활용의 예로는

      편백나무에서 나온 톱밥이나 편백 열매를 베개에 넣거나 침대 이불에 넣으면 아토피에 좋고, 숙면에 도움이 된다.
      편백나무 침대에서 자고나면 상쾌하고 다양한 가구를 만들수 있는데 식기용품(숟가락, 젓가락, 주걱 등)으로 사용하면 좋다.


      제주 김녕 미로공원 측백나무라고 잘 못 알려져 있는 랠란디 나무


      식재수는 ‘랠란디’라는 측백, 편백과 비슷한 영국산 돌연변이종이다.
      씨가 없어 꺾꽃이에 의해서만 번식된다. 이 랠란디는 20~30m까지 자라고 1년에 1m가량 자라는 등 성장 속도도 매우 빠르다. 가지가 밑기둥 부터 촘촘하게 자라 울타리용으로 많이 쓰이는 나무로 유럽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편백나무 열매 베개 만들기

      편백나무의 잎, 줄기, 뿌리 조직중 피톤치드 향이 가장 강한 곳이 열매부분입니다.
      편백열매 베개속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대표적인 효과로는
        * 스트레스 완화, * 강력한 항균, 탈취
        * 진정작용과 쾌적, *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
        * 면역기능 증대, * 불면증 치료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1. 양력 3월부터 4월말까지 편백나무 열매 줍기

      ◇ 열매가 작기 때문에 편백나무가 많은 숲이나 공원 또는 절 근처에서 하루정도 (3시간이상) 주우면 베개 하나정도 만들 분량을 모으게 된다.
      ◇ 초보자는 열매줍기가 힘들기 때문에 며칠정도 시간을 두고 열매를 수집해야 베개하나 정도를 만들수 있다. 욕심은 금물이다. (몸살이 난다)
      ◇ 편백 열매를 줍기 힘든 사람은 측백나무 잎을 잘 말려서 베개 속을 만들기도  한다.




      출처 : 석산쉼터
      글쓴이 : 碩山 원글보기
      메모 : 난생 처음 편백 열매를 보았고 채취했다.

'지식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로서기  (0) 2018.04.20
[스크랩] 그리움이 자란다.  (0) 2014.12.06
[스크랩] 측백나무의 효능  (0) 2014.10.23
[스크랩] 직업선택의 10계명(거창고)  (0) 2013.08.20
지식의 근본  (0) 2010.02.21